📜 1부. 탄생의 순간 – 공약의 설계도
부제: “진짜 대한민국, 그 약속의 첫 페이지”
🌱 봄바람 속에 나온 10줄의 문장
2025년 5월, 여의도 정치권은 봄이었지만, 민심은 여전히 겨울 같았습니다.
전 정부의 혼란, 국제 경제 불안, 북핵 위협, 그리고 일상 속 고물가—국민의 체온을 떨어뜨리는 요소는 너무 많았습니다.
그 한가운데서 이재명 후보는 단상에 섰습니다.
슬로건은 “회복·성장·행복”. 그리고, 그걸 현실로 만들겠다는 10대 공약이 공개됐죠.
그건 단순한 선거 약속이 아니라, 당시 대한민국이 마주한 문제에 대한 해결 로드맵이었습니다.
① 경제 강국 – AI와 K시리즈의 야망
공약 : “세계 AI 3대 강국 진입, K-콘텐츠·K-방산 수출 확대, 국민참여형 첨단산업 투자”
배경 :
미국·중국·유럽이 AI 패권 경쟁에 뛰어든 상황에서, 한국은 반도체만으론 부족하다는 위기감.
콘텐츠와 방산은 이미 해외에서 경쟁력을 입증했으나, 정부 차원의 전략적 컨트롤타워는 부재.
정치적 의미: ‘첨단산업 = 국력’이라는 메시지를 명확히 하며, 보수·진보 진영 모두가 동의할 수 있는 성장 어젠다를 전면에 배치.
당시 반응: 기업계는 “AI 투자 확대”에 환영, 시민단체는 “AI 규제·윤리 가이드라인 병행” 요구.
#AI강국 #K콘텐츠 #K방산 #경제성장
② 민주주의 회복 – ‘내란 극복’에서 제도 개혁까지
공약 : “계엄권 제한, 검찰 수사·기소권 분리, 사법 투명성 강화, 언론 독립성 확보”
배경 :
과거 권력기관의 정치 개입과 사법 불신, 그리고 일부 언론의 편향 논란이 장기화.
‘내란 극복’ 발언은 전 정권 시절 비상계엄 논란을 겨냥한 표현.
정치적 의미: 정치적 중립성·투명성 회복을 국가 안정의 전제조건으로 선언.
당시 반응: 진보진영은 환영, 보수진영은 “정치보복 우려” 주장. 언론단체는 “공영방송 독립성 확보” 부분에 높은 관심.
#민주주의회복 #사법개혁 #언론개혁

③ 민생 안정 – 서민 경제의 방파제
공약 : “저금리 대환대출, 배드뱅크 설립, 공공임대 확대, 월세 세액공제”
배경 :
금리 인상과 전세 사기, 가계부채 1,800조 원 시대.
자영업자·세입자·개미 투자자 모두가 생존의 문턱에 몰린 상황.
정치적 의미: 경제 회복을 ‘대기업 중심’이 아닌 ‘생활경제’에서부터 시작하겠다는 의지.
당시 반응: 소상공인단체·청년세입자 모임에서 “실질적 도움 기대” 호평, 일부 재정학계는 “재원 마련 불투명” 지적.
#민생회복 #서민경제 #공정경제
④ 외교·안보 – 실용과 균형
공약 : “공급망 다변화, 다자외교, 식량·해양 안보, 전작권 확보”
배경 :
미·중 갈등 심화, 반도체·배터리 공급망 재편, 곡물 수급 불안.
한반도 안보 환경 악화와 북한 핵·미사일 위협 고조.
정치적 의미: ‘친미·친중’의 이분법에서 벗어나 다자외교·전략적 실용 노선 표방.
당시 반응: 무역업계는 “공급망 다변화 필수” 공감, 안보 전문가들은 “전작권 조기 전환 현실성”에 의견 분분.
#실용외교 #공급망다변화 #안보전략
⑤ 국민 생명·안전 – 재난 이후, 시스템 개편
공약 : “생명안전기본법 제정, 공공의대 설립, 응급실 과밀 해소”
배경 :
대형 참사와 의료 공백 사태, 감염병 이후의 보건 시스템 취약성 노출.
정치적 의미: 안전과 의료를 ‘복지’가 아닌 ‘국가 안보 자산’으로 격상.
당시 반응: 의료계는 “공공의대 설립”에 의견 엇갈림, 시민사회는 “생명안전기본법” 제정 촉구.
#국민안전 #공공의료 #재난대응
⑥ 국토균형 – 세종 행정수도 완성
공약 : “국회·대통령실 세종 이전, 초광역권·특별자치도 구상”
배경 :
수도권 집중과 지방 소멸 위기.
세종시를 행정 중심으로 완성하자는 논의는 2004년 헌재 판결 이후 20년째 이어진 과제.
정치적 의미: 수도권-지방 격차 해소를 국가 성장 구조 개편의 핵심으로 설정.
당시 반응: 지방정부 환영, 수도권 시민 일부는 “행정 비효율 우려” 지적.
#행정수도 #균형발전
⑦ 노동 존중 – 모든 노동의 권리
공약 : “노란 봉투법, 주 4.5일제, 포괄임금제 금지, 노동법원 설치”
배경 :
플랫폼·특수고용 노동 확산, 장시간 노동·저임금 구조 고착화.
정치적 의미: 전통적 노조뿐 아니라 비정형 노동자 권익을 제도권 안으로.
당시 반응: 청년층·비정규직 환영, 경영계는 “노동 유연성 저해” 우려.
#노동권 #노란 봉투법 #주45일제
⑧ 생애주기 복지 – 아동에서 노년까지
공약 : “아동수당 확대, 청년미래적금, 교통비 절감, 연금 사각지대 해소”
배경 :
저출생·고령화 동시 진행, 세대 간 불평등 심화.
정치적 의미: 복지를 연령별 ‘선별’이 아닌 ‘연속 체계’로 구축.
당시 반응: 청년층 호응, 일부 경제지에서 재정 부담 경고.
#생애복지 #청년지원 #노인복지
⑨ 저출생·고령화 대응 – 사회 구조의 재설계
공약 : “신혼 공공임대, 난임 지원, 정년연장, 지역 돌봄”
배경 :
2024년 합계출산율 0.65, OECD 최저.
정치적 의미: 인구 문제를 ‘경제 성장’의 전제조건으로 인식.
당시 반응: 청년층은 “주거·돌봄 해결 의지” 긍정, 일부 학계는 “정년연장 부작용” 경고.
#저출생대책 #고령화대응
⑩ 기후위기 대응 – 미래세대를 위한 오늘의 선택
공약 : “2040 탈석탄, 재생에너지 전환, COP33 유치”
배경 :
2050 탄소중립 목표와 국제사회의 압박, 국내 재생에너지 비중 정체.
정치적 의미: 기후를 외교·산업 경쟁력과 연결.
당시 반응: 환경단체 환영, 일부 산업계는 비용 부담 우려.
#기후위기 #재생에너지 #탄소중립
📌 한 줄 평
이 10개의 공약은 단순히 ‘이것 하겠습니다’가 아니었습니다.
각각은 2025년 당시의 사회·경제·정치 문제를 정면으로 겨냥한 ‘정밀 처방전’이었죠.
문제는, 그 약이 국민의 몸에 잘 맞느냐는 겁니다.
바로가기>>《이재명 정부, 약속과 현실》 2부 – 첫 100일 31조8천억 추경의 설계도와 민생 회복 전략
#이재명정부 #대선10대공약 #이재명공약해설 #정치분석 #민생회복 #AI강국 #사법개혁 #행정수도완성 #기후위기대응 #WISEOPTION특집
© 2024 WISE OPTION. All rights reserved.
본 콘텐츠는 와이즈옵션이 운영하는 AllUWant 홈페이지에 게시된 창작물입니다.
무단 복제, 배포, 2차 활용은 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WISE OPTION is the creator and operator of the AllUWant website.
Unauthorized use of this content is discouraged.
'정치 & 트랜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재명 정부, 약속과 현실》 3부 – 2025년 8월 현재 정책 성적표와 민생·외교·개혁 현황 분석 (0) | 2025.08.10 |
---|---|
《이재명 정부, 약속과 현실》 2부 – 첫 100일 31조8천억 추경의 설계도와 민생 회복 전략 (0) | 2025.08.10 |
2025 대한민국 대선 후보와 공약 총정리 – 조기 대선의 배경부터 핵심 쟁점까지 (사전투표) (0) | 2025.05.25 |
2025 이재명 파기환송심 정리 : 대선 출마 가능성, 유죄 시나리오, 공직선거법 핵심 요약 (0) | 2025.05.05 |
정치 테마주, 기회주의자들의 무대 – 구조, 전략, 그리고 실전 (테마주 리스트) (0) | 2025.04.26 |